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<br> <br>한동훈 취임 이후 권력 수사의 향배를 취재한 사회부 이은후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시기적으로 한동훈 장관 취임하자마자 백운규 전 산업부 장관을 겨냥한 압수수색이 시작됐는데요. 탈원전 정책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쫓아내려 했다, 이게 핵심인 거죠? <br> <br>네, 산업부 블랙리스트 의혹 사건 수사가 윗선으로 확대되는 모양새인데요. <br> <br>출발은 한국전력의 발전 자회사 사장들에 대한 압박 의혹이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서울동부지검 수사팀은 백운규 전 장관이 관여된 월성 원전 사건 공소장에도 주목합니다. <br> <br>이 사건은 대전지검에서 수사가 진행됐는데요. <br><br>저희 취재팀도 대전지검의 공소장을 직접 확인해봤습니다. <br><br>지난 2017년 8월 백 전 장관은 회의에서 "에너지 공공기관에서 탈원전에 반대하는 인사 등을 분류하고 문제 있는 인사들을 퇴출시킬 방안을 검토하라"고 반복해 지시합니다. <br> <br>산업부 간부가 발전 자회사 사장들에게 사퇴를 종용한 건 바로 다음달이고요. <br><br>검찰은 이런 퇴출 지시가 "월성 1호기 조기폐쇄 등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한 발판이었다"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Q.<시청자질문> 한동훈 장관 임명되고 나서 수사가 진행되는 느낌인데? <br> <br>한동훈 장관 임명 때문이라고 단정짓긴 어렵지만 시기적으로 관련성을 살펴볼 여지가 없는 건 아닙니다. <br> <br>이 수사와 관련해 터닝포인트라고 할만한 주요 압수수색은 두 번 이뤄졌습니다. <br><br>산업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이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된 지 얼마 안 돼 이뤄졌고요. <br> <br>두 번째는 오늘 백 전 장관 자택 등에 대한 압수수색인데 한동훈 장관이 취임한지 이틀 만이죠. <br><br>한 장관이 취임사부터 권력 수사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만큼 수사팀도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그간 법조계에선 "백 전 장관이 청와대와 교감 없이 탈원전 인사 교체를 지시했겠느냐"는 의혹이 제기돼 왔습니다. <br> <br>이번 수사가 백 전 장관을 넘어 청와대 등으로 확대될지도 지켜볼 사안입니다. <br> <br>Q. 한동훈 장관이 검찰 물갈이를 시작했잖아요. 전 정권 수사가 속도를 낼 수밖에 없다, 이런 짐작이 맞는 겁니까. <br> <br>서울중앙지검장 등의 인사를 보면 그럴 가능성이 적지 않습니다. <br><br>전 정권에서 중용된 이정수 지검장이 8개월 넘게 대장동 개발특혜 의혹 수사를 지휘해왔지만 성남시 윗선이 관여했다는 의혹 등에 대해선 규명된 바가 거의 없죠. <br> <br>조국 전 장관 관련 수사를 지휘했고 이른바 특수통으로 불리는 송경호 신임 중앙지검장이 이 규명에 나설 거란 전망이고요. <br> <br>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의 변호사비 대납 사건을 수사 중인 수원지검도 친정부 성향으로 분류되는 신성식 검사장 지휘 하에 이렇다할 수사 결과를 못 내놓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 자리엔 조국 전 장관 등이 연루된 '청와대 감찰무마' 사건을 지휘했던 홍승욱 검사가 임명됐고요. <br> <br>서울남부지검에서도 라임 펀드 사기 사건에 여권 인사들이 연루됐다는 의혹 수사가 지지부진했는데요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 검찰총장 시절 징계에 관여한 심재철 지검장이 '윤석열 사단'이라 불리는 양석조 검사로 교체되면서 이 수사에도 다시 탄력이 붙을 수 있습니다. <br><br>Q. 그런데 이번에 검수완박법안이 통과되면서 이런 수사들은 4개월 내에 끝내야 합니까? <br> <br>그렇다고 확정해서 말하기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검찰 입장에선 서둘러야 할 이유가 있습니다. <br> <br>'검수완박' 법안에서 기존에 검찰이 수사하던 사건을 경찰에 넘겨야 한다는 조항이 빠지면서 대장동 사건 등은 계속 검찰 수사가 가능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수사 과정에서 혐의나 피의자가 추가로 드러날 경우 검찰의 수사범위인지를 놓고 또다른 논란이 될 수 있는데요. <br> <br>이런 논란을 방지하려면 법안 시행 유예기간인 4개월 안에 서둘러 끝내는 게 최선이라는 게 검찰 내 분위기입니다.